본문 바로가기

아파트 평수 계산하는 법|전용면적 vs 공급면적, 헷갈리지 마세요!

이승남 소장 2025. 5. 3.
반응형

아파트 평수, 도대체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부동산을 알아보거나 청약을 넣으려 할 때 “전용 84㎡” 같은 숫자를 많이 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도대체 이게 몇 평인지, 실제 내 생활공간은 얼마나 되는 건지 감이 안 잡히는 분들 많으시죠? 이번 글에서는 헷갈리기 쉬운 아파트 평수 계산법을 아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의 차이와 함께 ㎡(제곱미터)를 평으로 바꾸는 공식도 알려드릴 테니, 앞으로는 부동산 보실 때 훨씬 수월해지실 겁니다.

 

 

 

아파트 평수 계산 기본 단위부터 알아봅시다

 

1㎡(제곱미터)는 약 0.3025평입니다.
즉, ㎡에 0.3025를 곱하면 평수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 전용면적 84㎡ × 0.3025 ≒ 약 25.4평
  • 공급면적 115㎡ × 0.3025 ≒ 약 34.8평

계산기 없이 쉽게 하고 싶다면 ㎡ × 0.3 = 대략적인 평수 로 기억하셔도 괜찮아요!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차이 헷갈리지 마세요

아파트 평수를 이야기할 때는 주로 이 3가지 면적이 등장합니다.

✔ 전용면적

  • 말 그대로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실내 공간
  •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내부 공간 전체
  • 공용 복도나 계단은 제외
  • 청약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기준

→ 예: 전용면적 59㎡ = 약 18평

✔ 공급면적

  • 전용면적 + 복도·계단 등 공용면적 일부 포함
  • 실제 생활 공간보다 더 넓어 보이게 하는 단위
  • 광고나 분양 안내에 자주 사용됨

→ 예: 공급면적 84㎡ = 약 25평 (전용 59㎡ + 공용 25㎡)

✔ 계약면적

  • 공급면적 + 지하주차장, 관리실, 복도 등까지 모두 포함
  • 실제 생활 공간과는 거리가 있음
  • 계약서상에 기재되는 면적

아파트 평수, 전용면적 기준으로 비교하세요!

 

실제로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은 전용면적 기준입니다. 하지만 부동산 매물이나 분양 공고에는 공급면적이나 계약면적이 주로 표기되어 있어 비슷한 25평이라도 내부 구조는 천차만별이죠.

따라서 평수를 확인할 땐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비교해야 실질적인 공간 감을 알 수 있어요!

 

전용면적별 대표 아파트 유형 예시

  • 전용 59㎡ ≒ 18평 → 신혼부부, 2~3인 가족형
  • 전용 74㎡ ≒ 22평 → 작은 방 3개 + 거실형
  • 전용 84㎡ ≒ 25평 → 일반적인 4인 가족형
  • 전용 101㎡ ≒ 30평 이상 → 중대형 평형

이처럼 전용면적이 곧 실제 가족이 생활하는 크기이기 때문에 내 가족 구성원에 맞는 평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이제 아파트 평수, 어렵지 않아요!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아파트 평수 계산, 사실은 단위만 정확히 알고 나면 굉장히 간단하죠?

  • ㎡ × 0.3025 = 평
  • 전용면적 = 실제 사용하는 공간
  • 공급면적 = 광고에 자주 등장
  • 계약면적 = 법적 기준에 따른 총면적

이제부터는 ㎡와 평수, 전용·공급·계약면적의 차이를 제대로 알고 내게 딱 맞는 아파트를 현명하게 선택해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아파트 평수 계산 법

반응형

댓글